300x250
300x250
개항 이후에 우리 나라의 수공업은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기계의 힘으로 물품을 대량으로 제조, 생산하는 기계공업을 발전시키게 된 것이다. 여러 공장들이 세워졌는데 처음에는 정부에 의하여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handicraft industry in Korea experienced a major change. With the power of machines, the machinery industry, which manufactures and produces goods in large quantities, has developed. Several factories were built, but they were initially opera..
조선시대가 되어서도 비중이 컸던 것은 나라에서 주도하는 수공업이었다. 고려시대의 특수한 행정구역인 소가 없어졌다. 당연히 소에 있던 장이들을 물품생산에 동원하는 일도 없어졌다. Even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the state-led handicraft industry that had a large proportion. The cow, a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Goryeo Dynasty, disappeared. Naturally, there was no mobilization of marketers in cattle to produce goods. 조선시대에도 장이들은 역시 공장 안에 등록시켰다. 그리고 그들을 관련관청에 일정..
나라에서 주도하는 수공업이 중요하기는 고려시대도 마찬가지였다. 수공업을 관장하는 관청들이 분야에 따라 두어졌다. 분야는 더욱 광범위하여졌고 이에 따라서 일을 주관하는 관청의 수도 많았다. 예를 들면 건축이나 토목공사를 맡는 선공시, 무기를 제조하는 군기시, 왕족의 의복을 제조하는 장복서, 귀족층이 사용하는 각종 장식품을 제조하는 공조서, 철물이나 세공품을 만드는 장야서 등 많은 관청이 있었다. 각 관청에는 물품을 만들어내는 장이들이 전속되어 있었다. 그들의 일은 세분화 전문화되었다. 그들은 국가에서 녹봉을 받고 일년에 300일 이상 관청에 나가 있어야 했다. 그들처럼 전문적이거나 전업적이지는 않았지만 소라는 특수한 행정구역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도 장이가 있어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물품을 생산하..
한편 삼국시대 이후가 되면 왕실을 비롯하여 귀족들이 자신의 권위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었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노력도 커졌다. 자연히 건축, 공예, 미술품 따위의 수준이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장인들이 여기에 관여하게 되었다. 신라의 옛무덤에서 나오고 있는 여러 부장품들 가운데에는 금으로 만든 관, 띠, 귀고리, 가락지, 팔찌라든가 유리, 구슬 같은 지극히 아름다운 세공품들이 있었는데 그 구석구석에 수공업자의 손때가 묻어있는 것이다. 불국사 석굴암은 말할 것도 없고 수많은 석탑이나 불상 그리고 범종들도 그들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실생활과 관련있는 수공업도 발전하였다. 가령 가죽으로 물품을 만들거나 비단으로 옷감을 짓거나 하는 것들이 그러한 예이다. 무기는 말할 것도 없고 순금제품 같은 ..
돌이나 나무, 광석과 같은 자연물을 사람의 힘으로 본래 모습을 변경시켜 쓸모있는 것으로 만들어내는 일이 공업이다. 오늘날은 기계를 부려서 생산을 하지만 과거에는 손이나 간단한 기구를 부려서 생산을 하지만 과거에는 손이나 간단한 기구를 써서 물품을 생산하였다. 그래서 그러한 것을 수공업이라 불렀다. 수공업은 주문을 받아서 많은 수의 물품을 만들어 내는데 그 일에 매달려서 밥벌이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그들은 장이라고 일컬어졌다. 이러한 것을 내용으로 하는 수공업은 나라를 이룬 뒤에 나타났다. 우리 나라에서 나라가 생겨나기는 3천년 전쯤부터인데 이 때에 처음으로 청동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그 몇 백년 뒤에 보다 단단한 철을 사용하게 되었다. 청동이나 철로 칼이나 창 따위의 물건도 만..
19세기말에 가서 우리나라가 서양의 여러 나라와 교섭을 가지게 되면서 농업도 새로운 기술과 방법을 배워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일본의 침략에 의하여 그 식민지가 되게 되었다. 이때에 일본은 자기 나라를 공업 국가고 발전시키고 그 대신 자기 나라에서 모자라는 식량을 우리나라에서 가져가려고 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우리나라 농업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저수지도 만들고 기술도 개량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자기 나라를 위한 것이지 우리나라를 의한 것은 아니었다. 식량은 약간 증산이 되기는 하였으나 증산된 것의 몇 배나 되는 쌀을 우리나라로부터 가져갔던 것이다. 전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가져갔다면 그들의 야욕이 어디에 있었는지 알 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을 먹이기 위..